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고령 백혈병 치료 평가도구, 맞춤치료 새 지평 열다"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국내 연구진이 고령 급성골수성백혈병 항암치료 시 합병증과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해냈다.특히 해당 평가도구는 고령의 백혈병 환자의 숨겨진 장애를 발견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환자별 최적화된 항암 맞춤치료에 적극 활용될 전망이다.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조병식 교수(왼쪽), 민기준 교수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조병식 교수팀(제1저자 민기준)은 '고령의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게서 노인포괄평가를 통한 표준 항암화학요법 후 합병증 및 생존율 예측'한 연구 결과를 3일 공개했다.급성골수성백혈병은 평균 발병 연령이 65~67세인 노인성 혈액암이다. 60세 이상 고령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는 젊은 환자와는 다른 백혈병의 유전적 특성과 노령화에 따른 장기 기능 저하 및 전신수행능력 감소로 인해 불량한 예후를 보인다. 그나마 최근 표준 항암화학요법이 불가능한 고령 환자에서 표적치료제(베네토클락스, venetoclax)를 포함한 병합 치료가 새로운 1차 치료로 소개돼 향상된 치료 성적을 보이고 있다.고령 환자에서 표준 항암화학요법의 적합성을 평가할 때 나이(75세 미만)와 전신수행능력 및 동반질환 유무를 확인한다. 하지만 적합하다고 판단된 환자들이 치료과정에서 합병증과 늦은 회복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고령 환자들 개개인별 차이점과 회복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해 이에 기반한 맞춤치료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이상적 평가방법 개발을 위한 연구가 계속돼 왔다.하지만,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는 노인포괄평가의 유용성이 확실히 입증되지 않아 사용이 제한돼 왔다. 이 가운데 조 교수팀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표준 항암화학요법을 이용해 치료받은 60세 이상 고령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 105명을 대상으로 치료 전 노인포괄평가를 시행해 다양한 평가항목 중 어떤 항목들이 치료 관련 합병증 및 사망률‧생존율 예측에 유용한지 분석했다. 분석 결과, 표준 항암치료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환자들의 92%가 1개 이상의 항목에서 이상소견을 갖고 있었다. 특히 인지기능장애가 확인되는 경우 항암치료 기간 중 합병증이 증가했고 인지기능장애가 있는 환자의 입원기간이 연장됐다. 이를 통해 조 교수팀은 노인포괄평가 방법은 고령의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숨겨진 장애를 발견하는데 유용했으며 특히 신체기능, 인지기능, 및 정서상태의 장애는 치료과정에서의 합병증 발생 위험도 및 생존율을 예측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이 입증됐다고 봤다.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노인포괄평가는 진료 현장에서 고령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의 초기 치료방법 선택의 지표로 활용되어 치료의 패러다임이 바뀌게 될 것"이라며 "후속으로 백혈병 진단 시 발견된 신체, 정신, 인지 장애를 적절한 치료를 통해 개선시켜 항암치료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을 지 검증하는 연구와 저강도 항암치료에서 노인포괄평가의 역할 분석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해당 연구 결과는 미국 혈액학회 공식 저널인 'Blood'에 정식 게재에 앞서 1월 12일자로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미국 웨이크포레스트대(Wake Forest Health Sciences)의 하이디 클레핀(Heidi Klepin) 교수는 'Blood' 저널에 특별 기고를 통해 "이번 연구는 표준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적합성 평가 방법으로 노인포괄평가의 유용성을 동양 환자에서 확인해 서양의 초기 연구의 결과를 효과적으로 검증했다"고 평가했다.이어 "뿐만 아니라 항암치료 과정에서 합병증 예측에도 효과적임을 새롭게 발견해 노인포괄평가가 백혈병 환자의 치료 적합성 평가를 위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근거로서 활용될 것"이라고 논평했다.
2022-03-03 12:11:14학술

'절반일치' 조혈모이식, 비혈연 일치 이식과 효과 동등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 혈연사이 절반일치 조혈모세포이식의 장기생존률의 우수성이 입증됐다. 비혈연사이 일치 이식과 비교해 동등한 수준의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뜻이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김희제, 조병식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혈액병원 김희제, 조병식 교수 연구팀은 2일 동종조혈모세포이식 대상 환자를 혈연사이 절반일치(55명) 및 비혈연사이 일치(55명) 그룹으로 배정하고, 2013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장기 생존율을 비교 연구한 결과를 공개했다. 그 결과, 각각 65%, 54%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혈연사이 절반일치 이식이 비혈연사이 일치 이식에 비해 동등한 수준의 양호한 치료 효과를 보인 것을 의미한다.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은 공여자의 정상 조혈모세포를 이식해 조혈 시스템을 공여자의 것으로 바꿔, 공여자의 면역세포가 항암치료에도 불구하고 잔존하는 백혈병세포(미세잔류 백혈병)를 항 백혈병 면역 반응을 통해 제거하도록 하는 대표적인 면역세포치료법이다. 이식은 전처치요법(항암제 및 전신방사선 치료)을 이용해 환자의 몸 안에 남아있는 백혈병세포를 최대한 제거하고 골수기능을 억제해 조혈모세포가 생착할 수 있는 면역학적 환경을 만드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번 연구에 이용한 저강도 전처치요법은 서울성모병원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것으로, 이식 후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PT-Cy, post-transplant cyclophosphamide)를 기반으로 하는 미국∙유럽과 달리 항흉선항체(ATG, anti-thymocyte globulin)를 사용해 대표적인 합병증인 이식편대숙주병 예방 효과를 공고히 하고 이식 전처치 강도를 낮춰 고령 환자도 견딜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이식 공여자 선택 시 조직적합항원 유전자 8개가 일치하는 형제 공여자가 1차로 고려되며 적합한 형제 공여자가 없을 경우 타인(비혈연)에서 조직적합항원이 일치하는 기증자를 2차로 찾게 된다. 국내 등록기관을 통해 약 40% 정도 비혈연사이 조직적합항원 일치 공여자를 찾을 수 있으나 적합한 타인 공여자가 없는 경우 혈연사이 절반일치 이식, 즉 8개의 조직적합항원 유전자 중 최소 4개가 일치하는 공여자 이식이 주로 시행되고 있으며 제대혈 이식도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조병식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국내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 중 이식을 신속하게 진행해야 되는 상황이거나 재발 고위험군이어서 재발 예방 또는 재발 시 추가 공여자 유래 면역세포치료의 대상이 되는 환자들의 경우 비혈연 일치 공여자 유무에 상관없이 혈연사이 절반일치 이식을 진행할 수 있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희제 교수는 "재발‧불응성 환자 또는 재발 고위험군 환자에서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다양한 공여자 유래 면역세포치료 시 안정된 혈연사이 절반일치 이식 프로토콜이 기본 플랫폼으로 활용되어 치료 성과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혈액학회지(American Journal of Hematology; IF 10.047)' 최근호에 게재됐다.
2021-08-02 11:06:06학술

백혈병 항암제 내성 확 줄인 병용 치료제 나온다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 국내 연구진이 악성 혈액암인 급성 골수성 백혈병 항암제의 내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치료 물질을 규명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만약 임상시험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항암화학요법과 병용 치료요법으로 크게 각광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조병식 교수는 최근 항암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의 내성을 억제하는 치료약물의 효능을 증명했다고 30일 밝혔다. 조 교수는 기존의 항암화학요법이 듣지 않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동물에게 표적치료제 LY2510924을 주입한 결과 기존 치료제인 AMD3100보다 빠르고 지속적으로 항암제의 내성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또한 기존의 항암화학요법과 병합해 사용하자 단독치료에 비해 크게 향상된 치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백혈병은 조혈모세포의 분화 초기의 세포들이 미성숙 상태에서 필요이상으로 과다 증식해 정상적인 조혈기능을 억제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혈액질환으로 급성과 만성으로 분류한다. 이중 급성골수성백혈병은 다양한 표적항암제가 개발돼 장기 생존이나 완치까지 가능한 만성골수성 백혈병과 달리 아직까지도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적치료제가 없는 상태. 이로 인해 기존 항암화학요법에 내성이 생긴 백혈병 세포가 재발하며 여전히 생존율이 크게 낮은 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조 교수는 백혈병 세포가 존재하는 골수안의 미세환경(microenvironment)과 백혈병 세포와의 상호작용으로 백혈병 세포가 항암치료제가 도달할 수 없는 공간으로 숨게 되는 기전에 주목했다. 골수 미세환경에서 분비하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인 SDF-1α가 백혈병세포 표면에 있는 수용체인 CXCR4와 결합하지 못하도록 CXCR4 억제제를 이용한 것이다. 물론 이미 CXCR4 억제제로 AMD3100가 임상연구 중이기는 했다. 그러나 이 약물은 인체 내 반감기가 짧고 치료 효과가 약해 효과적인 새로운 약물 개발이 절실히 필요했다. 조병식 교수는 "기존의 백혈병 치료제와 병합해 내성 발생을 줄이며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전략을 규명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조만간 환자를 대상으로 LY2510924의 2상 임상연구가 미국 MD앤더슨 암센터에서 진행될 예정"이라며 "곧 제품화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그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아 미국 혈액학회에서 발간하는 저명 학술지 Blood(Impact factor : 10.452)에 게재됐다.
2015-09-30 11:58:09학술

미니이식으로 급성백혈병 완치 가능성 열렸다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 국내 연구진이 표준이식이 불가능해 치료에 큰 어려움을 겪어왔던 급성림프구성백혈병 환자에게 미니이식을 적용, 완치의 가능성을 열어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세계 최초로 이뤄진 쾌거로 그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아 혈액분야에서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는 SCI학술지 루케미아(Leukemia)지에 게재됐다.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 조혈모세포이식센터 이석, 조병식 교수는 최근 고령이거나 합병증으로 치료가 불가능했던 급성림프구성백혈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저강도 조혈모세포이식술을 시행해 표준이식과 같은 수준의 치료결과를 얻어내는 성과를 거뒀다고 17일 밝혔다. 이 교수팀은 2000년 7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약 7년간 50세 이상 고령이거나 이식 당시 심각한 합병증이 동반돼 표준이식이 불가능한 성인 급성림프구성백혈병 환자 37명을 대상으로 완전관해(체내에 남아 있는 백혈병 수가 적은 상태)에서 미니이식을 시술했다. 이후 평균 3년간 이들 환자들을 추적한 결과 전체생존율 64%, 무병생존율 62%, 재발율 19%, 이식관련사망율 17%라는 놀라운 성적이 확인됐다. 이는 표준이식 성적에 버금가는 결과로 세계 최초로 급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 미니이식 유용성을 입증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과거 소아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은 항암치료만으로도 80% 이상에서 장기생존 및 완치가 가능했지만 성인들의 경우 동종조혈모세포이식만이 완치수단으로 사용돼 왔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 보편적으로 시행해 온 이식 방법이 항암치료보다 4-6배에 해당되는 고강도의 전처치요법(고용량 항암제 및 전신방사선요법)을 이용한 조혈모세포이식(표준이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표준이식 방법은 이식 사망률의 증가되는 위험성 때문에 환자가 고령이거나(50세 이상) 이식 당시 심각한 합병증(활동성 감염, 장기기능 손상 등)이 동반된 경우 시행이 어려웠고, 그 결과 치료 성적도 매우 저조했다. 이런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식 전 투여되는 전처치요법의 강도를 낮춘 미니이식을 시행하기 위한 방안들이 세계적으로 진행돼 왔던 것이 사실. 하지만, 성인 급성림프구성백혈병과 같이 질환의 진행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미니이식의 성적이 저조하여 그 유용성이 명확하게 입증되지 않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석 교수팀이 이같은 결과를 만들어내면서 미니이식을 통한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이에 따라 향후 성인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의 치료방식에 큰 변화가 올 것으로 연구진은 내다보고 있다. 이 석 교수(혈액내과)는 "이번 논문은 성인 급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 미니이식의 유용성을 입증한 최초의 전향적 연구결과"라며 "이를 통해 성인 급성림프구성백혈병의 치료 패러다임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히 기존에 표준이식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고령 환자나 이식 전 합병증이 동반되어 있던 환자들도 미니이식을 통한 완치에 대한 희망을 갖게 됐다"고 연구결과를 평가했다. 한편, 서울성모병원 조혈모세포이식센터(소장 민우성 교수)는 지난 1983년 국내 최초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을 성공시키며 지난 25년간 조혈모세포이식 분야의 연구와 치료를 선도해 왔다.
2009-06-17 12:38:26학술

조병식 교수, 혈액학회 학술상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조병식 교수가 최근 대한혈액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학술상을 수상했다. 조 교수는 이번 학회에서 'Feasibility of NIH consensus criteria for chronic graft-versus-host disease'라는 논문을 발표, 우수연구자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이번 논문은 국제학술지인 'Leukemia' 2009년 1월호에도 게재된 바 있다.
2009-06-03 12:28:29병·의원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